본문 바로가기

나의 공부22

프로세스, 스레드, 멀티 스레드? 멀티 스레드를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알고 있으셔야합니다. 저도 잘모르는 개념인데요 ㅎㅎ.. 같이 한번 배워봐요! 1. 프로세스 (Process) 프로세스란 운영체제에서 실행 중인 하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사용자가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운영체제로부터 실행에 필요한 메모리를 할당 받아서 어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실행하는데요. 이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바로 프로세스 인것이죠. CPU는 한번의 하나의 프로세스만 실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평소에 저희는 게임을 하다가 공략을 보려 인터넷을 키거나, 드라마나 영화를 보다 카톡이 오면 카톡을 키는 등 다수의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데요! 이는 운영체제가 짧은 시간에 실행할 프로세스를 교체하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작업.. 2023. 4. 6.
정규화는 뭘까? 정규화의 예시 정규화는 DB를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같이 한번 알아봐요!! 저는 코딩 애플님 영상을 보면서 공부해봤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1FbowQRcmI&t=338s&ab_channel=%EC%BD%94%EB%94%A9%EC%95%A0%ED%94%8C 정규화? 정규화는 관계형 DB의 설계과정중에 중복을 최소화하도록 구조화하는 작업입니다. 정규화의 목표는 이상이 있는 관계를 재구성해서 작조 잘 조직된 관계에 생성하는 것입니다. 정규화는 단계로 구별되고 이 정규형이 높아질수록 대부분은 이상현상이 줄어들게 됩니다. 장점 정규화는 무엇이 좋기에 과정을 거치는 것일까요? DB 변경시 이상현상 해소를 위한 값 변경이 쉽다. 데이터가 추가되더라도 구조를 변경하지.. 2023. 3. 30.
디자인패턴-싱글톤패턴(SingleTon) 싱글톤 패턴은 개발자라고 한다면 숙지하고 있어야하는 패턴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데이터나 레포지토리 관리를 싱글톤 패턴하에 구현되기 때문입니다. 왜 꼭 알고 있어야하고, 동작방식은 어떻게 될까요?? 같이 확인해보겠습니다. 싱글톤 패턴? 싱글톤 패턴은 간단하게 '하나'의 객체만 생성해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정보처리기사-수제비에서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 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객체를 하나만 생성하도록 하며, 생성된 객체를 어디에서든지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 - 한 클래스에 한 객체만 존재하도록 제한 객체는 쉽게 여러개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왜 하나의 객체만을 생성해서 사용해야할까요? 한개로 사용하면 무슨 이점이 있을까요?? 가장 빠르게 떠오를 것같은 장점으로는 메모리가.. 2023. 3. 23.
디자인패턴-빌더 패턴(Builder) 객체(엔티티)를 초기화할땐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생성자 패턴, 정적 메소드 패턴, 수정자 패턴, 빌더 패턴 등을 사용해 객체를 생성하는데요. 저는 보통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직관적이고, 변경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빌더 패턴을 많이 채용해서 객체를 생성하곤 합니다. 그래서 도대체 빌더 패턴이 무엇인지, 그리고 객체를 생성할때는 빌더 패턴을 사용해서 작성해야하는 이유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빌더 패턴?? 정보처리기사-수제비에는 빌더패턴에 대해 이렇게 적혀있습니다. - 복잡한 인스턴스를 조립하여 만드는 구조로, 복합 객체를 생성할 때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과정)과 객체를 구현(표현)하는 방법을 분리함으로써 동일한 생성 절차에서 서로 다른 표현 결과를 만들 수 있는 디자인 패턴 - 생성과 표기를 분리해서 .. 2023. 3. 23.
반응형